주식과 편드 투자에 이어 ETF 투자규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. ETF란 정확히 무엇일까?
ETF란
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서 정식적인 명칭은 '상장지수펀드'라고 한다. 즉, "ETF란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"로서 그 태생이 펀드이지만 주식시장에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쉽게 말해 ETF란 펀드를 주식화하여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.
그런데, 왜 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시켜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게 만들었을까? 이는 펀드가 가지고 있는 단점 및 한계를 보완하고자 만든 상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 펀드는 ETF 대비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면서 펀드의 운용주체가 내가 아닌 자산운용사이면서 실시간 가격에 반응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.
ETF 장점
실시간 트레이닝이 가능하다. ETF란 주식의 형태로 실시간 트레이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펀드는 환매하는 데에도 며칠이 걸리지만 ETF란 쉽게 사고팔 수가 있는 것이다.
수수료가 저렴하다. 펀드에는 판매수수료, 수탁수수료, 운용수수료 등 ETF 대비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다. 만면, EFT는 일반 펀드 대비 적은 수수료를 부담하다 보니 아낀 수수료만큼 더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이 생긴다는 장점이 있다.
ETF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분산투자효과 일 것이다. ETF란 그 자체로 여러 종목을 담고 있는 펀드 상품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니 ETF 종목을 매수하는 것 자체만으로 분산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ETF 투자 시 주의할 점
ETF 투자 시에 반드시 체크할 것은 거래량과 시가총액의 규모가 큰 것을 선택하여 투자하길 권한다. 거래량이나 시가총액이 적음 금액은 잘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고 거래가 되더라도 매수금액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. 다만, ETF는 상장폐지 시에도 남은 순자산가치 별로 환급받을 수 있는 장점은 있다.
ETF 이름을 통해 상품의 구조를 이해하기
EFT란 여러 가지 상품의 구조를 조합하여 만드는데 ETF의 이름에서 그 상품의 구조를 이해할 수가 있다. ETF 읽는법에 관련해서는 별도의 글을 참고하면 되겠다.
댓글